미국 워싱턴 D.C. 백악관 북동쪽 로건서클에 위치한 주미대한제국공사관 건물은 미국 해군 출신 정치가이자, 외교관이었던 세스 L. 펠프스(Seth L. Phelps)의 저택으로 1877년 건립되었습니다.
1889년 2월 조선왕조(1392~1897)는 이 건물에 외교공관을 개설했습니다. 그로부터 1905년 11월 을사늑약으로 일제가 대한제국(1897~1910)의 외교권을 강탈하기 전까지 16년간 이 건물은 활발한 외교활동의 중심무대로 쓰였습니다. 그러나 1910년 8월 국권을 앗아간 일제는 마침내 이 건물도 단돈 5달러에 강제 매입해 되팔고 말았습니다.
1945년 8월 광복을 되찾았지만, 굴욕적으로 빼앗긴 이 건물의 소유권을 되찾지는 못했습니다.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재미 한인사회를 시작으로 이 건물을 되찾자는 논의가 본격화되었고, 이어 언론계(중앙일보기자 박보균), 문화계(헤리티지포럼 이배용)등의 많은 노력이 뒤따랐습니다. 마침내 2012년 10월 문화재청과 문화유산국민신탁이 재매입에 성공해 ‘주미대한제국공사관’ 건물을 되찾아 올 수 있었습니다.
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한국과 미국의 역사를 함께 공유한 뜻깊은 장소입니다. 고종의 자강외교로부터 한미관계의 싹이 튼 ‘한미우호의 요람’이자, 서양의 근대문물을 받아들이던 창구역할도 하였습니다. 또한 일제강점기 재미 한인들이 국권회복의 결의를 고취시키던 독립의 상징이었습니다. 현재 주미대한제국공사관 건물은 워싱턴 D.C.의 19세기 외교공관 중 원형을 간직한 유일한 건물로서 한미 양국 모두에게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.